본문 바로가기

인터넷

Latency/RTT/RTD란?

반응형

   [3줄 요약]

  •  진공 중 빛의 속도 3*10^8 m/s
  •  광케이블 속 빛의 속도 2*10^8 m/s
  •  일반적인 인터넷 패킷의 왕복 속도는 1ms/100km

인터넷 게임, 클라우드프로그램, 앱, 웹서핑을 하면서 너무 늦다고 느낄 때,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이용자들은 서버~클라이언트 응답 시간을 측정해보게 됩니다.

ping시간, Latency, RTT, RTD 등 여러 가지 명칭이 있지만 한글로는 응답 시간으로 통일되는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주로 단거리보다는 장거리에 관련된 이야기를 펼쳐보겠습니다.)

 

영문 wiki에는 아래와 같이 정리되어 있죠. (RTT와 RTD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 RTT : round-trip time
  • RTD : round-trip delay

 

https://en.wikipedia.org/wiki/Round-trip_delay

 

Round-trip delay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time required to receive a response to a query across a communication system In telecommunications, round-trip delay (RTD) or round-trip time (RTT) is the amount of time it takes for a

en.wikipedia.org

A지점과 B지점 사이의 (왕복) 응답 시간을 의미합니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이 있는 latency를 살펴보면

 

https://en.wikipedia.org/wiki/Latency_(engineering) 

 

Latency (engineering)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Time interval between an input and a response Latency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is a time delay between the cause and the effect of some physical change in the system being observed

en.wikipedia.org

패킷 교환 네트워크/광케이블/위성 전송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해 놓았습니다만, 현재 인터넷에 사용되는 기술은 빛을 이용한 광통신이므로 빛의 속도를 아는 것이 모든 것의 시작이 되겠네요. 전파의 속도도 빛의 속도와 같다는 것은 다 알고 계시죠?

 

  • 광속 : 299,792,458 m/s

https://www.google.com/search?client=firefox-b-d&q=%EB%B9%9B%EC%9D%98+%EC%86%8D%EB%8F%84 

 

빛의 속도 - Google 검색

빛의 속도는 지금까지 우주 어디에서나 불변이라고 알려져 있다. 현재 공인된 진공 속에서의 빛의 속도는 초속 299,792,458m이다. 그리나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원리를 ...

www.google.com

하지만 실제 생활에서 계산할 땐 3*10^8 m/s를 이용해도 충분합니다. 광속은 진공에서 측정된 값이므로 매질에 따라 속도가 감소하게 되죠. 현재 인터넷은 대부분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있으므로 광케이블을 통과하는 속도가 필요합니다. 광케이블 속 빛의 속도는 진공 중의 속도에 비하여 약 2/3로 알려져 있습니다. 2*10^8 m/s입니다.

 

현실적인 이야기로 돌아와서 100km를 왕복하는 인터넷 전송시간은 어느 정도일까요?

시간 = 거리 ÷ 속도 이므로

 

  t = (100km*2 ) ÷ (2*10^8 m/s) = 1ms

 

간단하게 100km당 1ms로 생각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기술한 시간은 순수하게 광케이블을 통과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광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해 전기신호 ↔ 광신호간 변환되는 지연은 무시한 결과이며, 실제 전체 왕복시간 결괏값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실제 사례에 적용해 볼까요? 다음은 Google DNS의 왕복시간을 측정해 본 결괏값입니다.

Google DNS의 왕복시간

59ms로 측정되었으니 단순히 계산하면 약 5,900km 떨어진 지점에 설치된 서버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 내 어느 지역이겠네요.

 

부산대학교와 제주대학교 홈페이지를 측정한 결과입니다. 두 대학교 모두 보안 강화를 위해 외부 ping이 차단되어 있어, 대신 traceroute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이고, 중간 경로는 자체 검열하였습니다.

 

부산대 11ms
제주대 11ms

수도권에서 측정한 결과이지만 11ms라면 거리가 1100km인데, 네이버 지도의 결과와는 많이 차이가 납니다.

서울시청~부산대학교 395km

 

서울시청~제주대학교 543km

왜 차이가 나는 것일까요? 부산대는 4~5ms, 제주대는 5~6ms가 이론 치입니다만, Latency는 Network 부분, server/client 부분 등 다양하게 영향을 받으므로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 기회에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Network이 latency에 영향을 주는 요소 정도로 알고 계시면 되겠네요.


Network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latency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합니다.

  1. Serialization Delay
  2. Queuing Delay
  3. Propagation Delay

 

반응형